주관부처
|
과제명
|
수행연도
|
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(FRIS) |
식물공장 핵심요소기술개발 및 모델구축 |
2010~2012
|
교육과학기술부 (MEST) |
발광다이오드를 탑재한 실내용 다목적 식물생산시스템의 개발 |
2012~2013
|
교육과학기술부 (MEST) |
교육 및 치료 맞춤형 중대형 복합기능 식물재배시스템 개발 |
2013~2014
|
중소벤처기업부 (MSS) |
LED와 산소수를 이용한 고기능성 새싹채소 자동재배기 모듈 개발 |
2013~2014
|
한국연구재단 (NRF) |
기능형 식물공장 재배 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(신진연구) |
2014~2017
|
한국과학기술연구원(ORP) | 식물공장 기반 고기능성 돌미나리 생산을 위한 환경조절기술 개발 |
2014~2015
|
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(KEIT) |
식물공장을 이용한 고기능성 식물원료 대량생산 시스템 |
2014~2017
|
농촌진흥청(RDA) | 고추묘의 환경 및 병 저항성관리 |
2014
|
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(FRIS) | 기내 배양 사과 무병종묘 대량 생산을 위한 환경조절 기술 개발 |
2015~2020
|
농촌진흥청(RDA) | 폐쇄형 식물공장의 약용작물 재배 프로토콜 개발 및 확립 |
2018~2020
|
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(FRIS) | 보급형 식물공장 자동화 시스템 고도화 |
2019~2020
|
스마트팜연구센터(ARC) | 인공지능을 이용한 딸기의 생육 모델링 |
2017~2022
|
한국연구재단(NRF) | Omics기술과 딥러닝신경망을 이용한 전기장에 노출된 식물의 생리적 생화학적 반응 및 식물체 전기 신호의 해석 연구(지역대학우수과학자) |
2020~현재
|
한국연구재단(NRF) | 고속/고기능 식물생산을 위한 지능적 환경제어(기초연구실) |
2020~2023
|
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(FRIS) | 딥러닝을 이용한 엽채류 생육 예측모델 개발 |
2021~2024
|
기업체
|
과제명
|
수행연도
|
비원테크(Biwontech) | 발광다이오드소자를 이용한 소형 식물공장개발 |
2010~2012
|
비원테크(Biwontech) | Far-red LED를 이용한 작물재배기술 개발 |
2013
|
일송환경복원(Ilsong) | 녹화용 유닛 시험분석 |
2013
|
농심(Nongshim) | 고기능성 식물생산을 위한 식물공장 재배 프로토콜 확립 |
2017~2018
|
서울바이오시스 (Seoul Viosys) |
식물의 생리활성물질의 생합성 증진을 위한 UV-B LED 조사기술 개발 |
2018~2019
|
삼성전자(Samsung) | 고부가가치 엽채류 및 허브류의 적정 생장 환경 조건 규명 |
2019~2020
|
넥스트온(Nexton) | 표준모듈 개발 스마트팜 경제성 분석 |
2020
|
넥스트온(Nexton) |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새싹채소 재배환경 연구 |
2020
|
LG전자(LG) | 식물공장 실증 및 상용화 기술 개발 |
2021~2022
|
GCL팜(GCL Farm) | 음이온을 이용한 엽채류 재배방법 및 기능성 채소 생산방법 개발 |
2021~2022
|
동신폴리켐(Dongshin Polychem) | 영농형 그린뉴딜 시설하우스 시스템 개발 |
2021~2022
|
LG 전자(LG) | Tiiun 씨앗 패키지 배지 최적화 연구 |
2022~2023
|
알가팜텍(Algafarmtech) |
딸기 수경재배 시스템 고도화 및 화아분화 유도를 위한 음이온 처리기술 개발 |
2023 |
웰니스파머 | 수직농장 운영 및 작물판매, 작물연구 R&D | 2024 |
청채원 |
수직농장 내 프리미엄 기능성 상추와 특수채소의 안정 대량생산을 위한 프로토콜 확립 |
20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