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ㆍ박창민 권주찬 한나경 정민석 백기엽 최종완. 2014.
|
철피석곡의 원괴체상구체 및 다신초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.
한국화장품학회지.40:29-36.
|
|
ㆍXiaoyan Luo, Chi Zhandg, Xiaoming Sun, Qiaoping Qin, Mingbin Zhou, Kee Yoeup Paek, and Yongyi Cui. 2011.
|
Isolation and Characerization of a Doritaenopsis Hybrid GIGANTEA Gene, Which Possibly Involved in Inflorescence at Low Temperatures .
Kor.J. Hort.Sci.Technol..29(2):135-143.
|
|
ㆍ김주형, 김시동, 김승덕, 김태중, 노창우, 민경범, 백기엽. 2011.
|
A New Rose Cultimar 'Suryeo' with White-pink Flower Color .
Kor.J. Hort. Sci. Tcehnol.29(2):160-163.
|
|
ㆍ박창민, 정민석, 고두진, 백기엽, 최종완. 2011.
|
에키네시아 조직 배양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d from Echinacea angustifolia.
J. Soc. Cosmet. Scientists Korea.37(3)219-226.
|
|
ㆍKM Shim, EJ Hahn, WK Jeon, KY Paek. 2010.
|
Accumulation of cell biomass anthraquinones, phenolics, and flavonoids as affected by auxin, cytokinin and medium salt strength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Morinda citrifolia.
Kor. J. Hort Sci. & Tech(SCIE).28:288-294.
|
|
ㆍCM Park, MS Joung, KY Paek, JW Choi. 2010.
|
Inhibitory effect of Jewel orchid(Anoectochilus formosanus) plantlet extract against melanogenesis and lipid droplet accumulation.
J. Soc. Cosmet Scientists Kor.36:145-150.
|
|
ㆍEJ Lee, MY Kim, KY Paek. 2010.
|
Auxin and cytokinin affect biomass and bioactive compound production from adventitious roots of Eleutherococcus koreanum.
Kor. J. Hort Sci. & Tech(SCIE).28:678-684.
|
|
ㆍ김명기, 정철승, 신용국, 박경희, 이운장, 이은정, 백기엽. 2010.
|
추출조건이 노니 부정근에 함유된 rubiadin의 추출효율에 미치는 영향.
원예과학기술지(SCIE).28:685-690.
|
|
ㆍ신윤경, 윤여중, 한은주, 백기엽. 2009.
|
팔레높시스 기내 배양시 광도(PPF)가 묘의 생장, 광합성 및 순회에 미치는 영향 .
원예과학기술지(SCIE).27:476-481.
|
|
ㆍHai-Yan Cui, Yeo-Joong Yoon, Eun-Joo Hahn, Kee-Yoeup Paek. 2009.
|
The Number of Air Exchanges Affects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Phalaenopsis ‘Amaglade’ Both in Vitro and ex Vitro .
Hort, Environ. Biotechnol.456-460, 50, 2009.10.
|
|
ㆍ백기엽, 김주형, 이희두, 김태중, 윤태, 김시동, 민경범. 2009.
|
생장억제제 관주처리가 ‘Angel’s Trumpet’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.
한국화훼연구회.231-236, 17, 2009.12.
|
|
ㆍ최은정, 한은주, 백기엽. 2008.
|
포도 왜성대목 '5BB'의 생물반응기 배양에서 접종밀도가 식물체 생장, 기공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.
J. Plant Biotechnol.127-132.
|
|
ㆍS.H. Lee, E.J.Hahn, and K.Y.Paek. 2008.
|
Nitrogen Source and Sucrose Concentration in the Medium Affect Indian ginseng (Withania somniefera) Cultures in Vitro
.
Kor. J.Hort Sci. & Technol.26(3). 306-312.
|
|
ㆍ박창민, 정민석, 최종완, 백기엽. 2008.
|
조직 배양한 에키네시아 추출물에 관한 효능 연구.
대한 화장품 학회.34(2). 137-142.
|
|
ㆍG.H. Xu, S.J. Choo, I.J. Ryoo, Y.H. Kim, K.Y. Paek, and Ick-Dong. 2008.
|
Polyacetylenes from the Tissue Cultured Adventitious Roots of Panax ginseng C.A..
한국생약학회.14(3). 177-181.
|
|
ㆍWu, Rong Zhe, D. Chakrabarty, E.J. Hahn, K.Y. Paek.. 2007.
|
Micropropagation of an endangered jewel orchid (Anoectochilus formosanus) using bioreactor system.
.
Hort. Environ. Biotechnol..376-380.
|
|
ㆍShohael A.M., R. Islam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6.
|
Histological observation of developmental somatic embryos of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.
Horticulture, Environment, and Biotechnology.47(1):45-50.
|
|
ㆍ이은정, 한은주, 백기엽. 2006.
|
식물생장조절물질, 무기물 농도 및 질소원 비율이 Gymmema sylvestre 세포 배양에 미치는 영향.
식물생명공학회지.33(2):105-110.
|
|
ㆍ조은아, 한은주, 백기엽. 2006.
|
Alocasia amazonica의 생물반응기 배양에서 배지 공급 방식이 식물체의 생장과 잎조직 및 기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.
식물생명공학회지.33(2):117-122.
|
|
ㆍ박소영, 백기엽. 2006.
|
Doritaenopsis 체세포배의 내배수성 특성과 절편체의 내배수성 세포에 기인한 체세포변이의 발생.
식물생명공학회지.33(4):297-302.
|
|
ㆍKim S.J.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6.
|
Production of Chrysanthemum transplants as affected by hydroponic systems, electrical conductivity in nutrient solution,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.
Horticulture, Environment, and Biotechnology.47(6):349-352.
|
|
ㆍ김윤수, 한은주, 신차균, 백기엽. 2005.
|
생물반응기내의 공기주입량 및 Sparger 형태가 인삼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.
식물생명공학회지.32(2):111-116.
|
|
ㆍDewir Y.H., E.J. Hahn, H.C. Jeong, S.D. Hong, and K.Y. Paek. 2005.
|
Rooting and growth micropropagated Spathiphyllum shoots in various mixtures of growing media.
J. Kor. Soc. Hort. Sci..46(4):269-274.
|
|
ㆍDewir Y.H., Y. Rangcai, F. Yanping, M.B. Ali, and K.Y. Paek. 2005.
|
Effect of temperature and γ-radiation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suspension cell culture of carnation (Dianthus caryophyllus).
J. Kor. Soc. Hort. Sci..46(5):329-334.
|
|
ㆍDewir Y.H., D. Chakrabarty, S.J. Kim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5.
|
Effect of light-emitting diode on growth and shoot proliferation of Euphorbia millii and Spathiphyllum cannifolium.
J. Kor. Soc. Hort. Sci..46(6):375-379.
|
|
ㆍShim S.W., E.J. Hahn, K.Y. Paek. 2004.
|
Production of grapevine rootstock '5BB' plants as influenced by bioreactor culture method and pH and EC of nutrient solution.
Kor. J. Hort. Sci.45(1):38-42.
|
|
ㆍ이정수, 백기엽, 신영안, 박수형, 정석태, 황정환. 2004.
|
참외의 생리적 대사 및 생육에 미치는 침수의 영향.
원예과학기술지.22(1):1-6.
|
|
ㆍ윤종선, 홍의연, 김익환, 신세균, 윤태, 이철희, 김태수, 백기엽. 2004.
|
자란 4배체 신품종 '충북자란' 육성.
원예과학기술지.22:495-498.
|
|
ㆍ정재훈, 유기원, 김선자, 최용의, 백기엽. 2004.
|
지황 부정근을 이용한 식물체 재분화 및 생물반응기 배양 .
식물생명공학회지.31(1):55-60.
|
|
ㆍ김윤수, 한은주, 백기엽. 2004.
|
다양한 생물반응기 형태가 인삼(Panax ginseng C.A. Mayer)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.
식물생명공학회지.31(3):249-253.
|
|
ㆍ백기엽, 한은주, 유기원, 전민화, 정철승. 2004.
|
생물반응기 배양기술을 이용한 유용물질의 대량생산과 산업화.
제1회대한민국지역혁신박람회 지역혁신토론회 논문집.pp.181-201.
|
|
ㆍ김은경, 한은주, 백기엽. 2004.
|
생물반응기에서 배양된 마늘 신초의 Microbulb의 형태발달 및 조직관찰.
식물생명공학회지.31(4):1-6.
|
|
ㆍ임순, 양경실, 권석윤, 백기엽, 곽상수, 이행순. 2004.
|
Agrobacterium 매개에 의한 고구마 형질전환 및 식물체 재분화 .
식물생명공학회지.31(4):267-271.
|
|
ㆍ유영근, 정민석, 이윤희, 최종완, 김중회, 백기엽. 2004.
|
산삼부정근 추출물의 효능·효과에 관한 연구 .
J. Soc. Cosmet. Scientists Korea.30(3):377-383.
|
|
ㆍ김주형, 백기엽, 김학현, 이희두, 이종원, 김시동, 윤태. 2004.
|
정식기별 생장억제제 처리가 하추국 백광의 화수장에 미치는 영향.
원예과학기술지.22(3):33-338.
|
|
ㆍWu R.Z., D. Chakrabarty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4.
|
Growth of Doritaenopsis in peat substituted growing medium .
J. Kor. Soc. Hort. Sci.46(1):76-81.
|
|
ㆍ염미란, 박현춘, 백기엽. 2003.
|
기내 나리 소인경 배양시 발광 다이오드가 광형태형성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4(1):125-128.
|
|
ㆍHahn E.J., Y.S. Kim, K.W. Yu, C.S. Jeong, and K.Y. Paek. 2003.
|
Adventitious root cultures of Panax ginseng C.A. Mayer and ginsenoside production through large-scale bioreactor system .
J. of Plant Biotechnology.5(1):1-6.
|
|
ㆍ전민화, 한은주, 백기엽. 2003.
|
Ebb & Flood 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Pelargonium hortorum 'Pinto White'와 'Pinto Pink'의 분화 생산시 배양액의 농도가 식물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.
한국원예학회지.44(4):518-522.
|
|
ㆍ김윤수, 한은주, 백기엽. 2003.
|
IBA와 NAA 처리에 의해 생성된 Ethylene이 인삼(Panax ginseng C.A. Mayer) 부정근 생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.
식물생명공학회지.30(2):173-177.
|
|
ㆍ박소영, 오성래, 백기엽. 2003.
|
Doritaenopsis 뿌리배양으로부터 고빈도의 protocorm-like body 형성.
식물생명공학회지.30(3):241-244.
|
|
ㆍ김주형, 백기엽, 김학현, 김태중, 이종원, 한은주, 이철희. 2003.
|
스프레이국 ‘헤르만 디 붐 재절화의 품질 및 절화수량에 미치는 분지수의 영향.
원예과학기술지.21(3):212-215.
|
|
ㆍ김주형, 백기엽, 김시동, 김학현, 이희두, 이종원, 윤태. 2003.
|
생장조절제 처리가 하추국 백광 품종 재절화 재배 시 흡지 발생 및 절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4(4):535-538.
|
|
ㆍ홍의연, 윤종선, 김익환, 윤태, 이철희, 김태수, 백기엽. 2003.
|
계대배양 및 배지내 첨가물질에 따른 팔레놉시스 조직배양묘의 생육, 개화 및 변이.
원예과학기술지.21(4):362-368.
|
|
ㆍ최영일, 한은주, 박현춘, 이용범, 백기엽. 2002.
|
Ebb & Flow 시스템을 이용한 Doritaenopsis 'Tinny Tender' 양액재배시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의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3(1):86-90.
|
|
ㆍ염미란, 박현춘, 백기엽. 2002.
|
배양온도와 DIF가 나리의 소인경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3(1):64-68.
|
|
ㆍ전민화, 한은주, 박현춘, 백기엽. 2002.
|
기내에서 배양된 오리엔탈 나리 ‘카사블랑카’ 소인경의 저온처리기간, 크기 및 양액농도가 구근 비대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3(1):69-72.
|
|
ㆍ이종원, 김시동, 김태중, 이철희, 김주형, 이희두, 윤태, 백기엽. 2002.
|
신나팔나리 인편삽목시 용토조성이 소인경 발달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3(3):339-342.
|
|
ㆍ정재훈, Debasis Chakrabarty, 김선자, 백기엽. 2002.
|
OsMADSI 유전자를 이용한 국화 ‘천수’ 품종의 형질전환.
한국원예학회지.43(4):382-386.
|
|
ㆍ이종원, 김시종, 김주형, 이희두, 한은주, 신공식, 백기엽. 2002.
|
신나팔나리 억제재배시 정식기 및 인편제거 정도가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3(4):476-480.
|
|
ㆍKim S.H., J.H. Jeong, S.K. Kim, and K.Y. Paek. 2002.
|
Parentage identification of 'Daebong' grape(Vitis spp.) using RAPD analysis.
J. of Plant Biotechnology.4(2):67-70.
|
|
ㆍ김태중, 김주형, 이종원, 이철희, 백기엽. 2001.
|
차광정도가 덴드로비움 팔레높시스의 CO2 흡수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2(1):111-115.
|
|
ㆍGao W.Y, L. Fan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1.
|
Pigment and saikosaponin production through bioreactor culture of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.
J. of Plant Biotechnology.3(1):1-5.
|
|
ㆍ이상선, 이준기, 이정우, 박소영, 백기엽. 2001.
|
공생균이 동양란 관음소심과 사계란의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2(2):223-226.
|
|
ㆍChoi J.I.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1. 2001.
|
Peroxidase activity,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, and photosynthesis of Aphelandra squarrosa 'Dania', Ficus benjamina, and Pachira aquatica during water deficit stress.
Kor. Soc. Hort. Sci.42(2): 137-141.
|
|
ㆍ정재훈, 양덕춘, 백기엽. 2001.
|
Cymbidium hoosai Makino에 있어서 Cymbidium Mosaic Virus와 Odontoglossum Ringspot Virus의 효율적인 진단을 위한 ELISA와 RT-PCR 비교.
한국원예학회지.42(3):336-340.
|
|
ㆍShim S.W., S.K. Kim, and K.Y. Paek. 2001.
|
Effects of micro-environmental conditions on organogenesis of 'Beni Izu' grapes.
Kor. Soc. Hort. Sci.42(3):238-242.
|
|
ㆍ손기철, 송종은, 엄수진, 백기엽, 오홍근, 이종섭, 김정호. 2001.
|
정유의 흡입이 각성 및 항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2(5):614-620.
|
|
ㆍ심석원, 허정욱, 김선규, 백기엽. 2001.
|
환기횟수, 당, BA가 포도 ‘Campbell Early'의 신초발생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2(5):540-544.
|
|
ㆍ염미란, 박현춘, 양찬석, 백기엽. 2001.
|
MS배지 내 무기물 농도 및 질소농도가 나리의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8(6):341-346.
|
|
ㆍ전민화, 한은주, 박현춘, 백기엽. 2001.
|
기내 배양환경이 오리엔탈 백합 ‘카사블랑카의 기외 발아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8(6):317-321.
|
|
ㆍ정재훈, 양덕춘, 장홍기, 백기엽. 2000.
|
저온 관련 유전자를 이용한 상추(Lactuca sativa L.)의 형질전환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7(1):7-12.
|
|
ㆍ염미란, 이선교, 백기엽. 2000.
|
Cucurbita foetidissima와 Asclepias syriaca의 정단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7(1):63-69.
|
|
ㆍ김태중, 이철희, 백기엽. 2000.
|
하계 저온처리시 생장조절제 처리가 도리테높시스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 41(1):101-104.
|
|
ㆍ김태중, 최종인, 신공식, 백기엽. 2000.
|
온도와 광도 차이가 Doritaenopsis 'Happy Valentine'의 광합성과 탄수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1(2):221-225.
|
|
ㆍLee S.S., S.W. Hong, J.K. Lee, U. Kim, S.Y. Park, and K.Y. Paek. 2000.
|
Isolation of the orchid mycorrhizal fungi from the Korean native orchids in Cheju.
Mycobiology.28(2):97-102.
|
|
ㆍAshok Kumar H.G., S.S. Sheelavanthmath, L. Hiregoudar, H.N. Murthy, and K.Y. Paek. 2000.
|
In vitro propagation of medicinal plants.
Kor. J. Medicinal Plant.8(2):97-123.
|
|
ㆍ이종원, 김태중, 김주형, 이희두, 김시동, 윤 태, 백기엽. 2000.
|
생장조절제 처리가 꽃도라지의 생장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1(4):419-422.
|
|
ㆍ윤종선, 홍의연, 김익환, 윤 태, 김태수, 백기엽. 2000.
|
One-Step RT-PCR 방법에 의한 수입 호접란묘의 심비디움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오돈토글로 섬 윤문 바이러스의 검정.
원예과학기술지.18(4):513-517.
|
|
ㆍ김주형, 김태중, 김학현, 이희두, 이종원, 이철희, 백기엽. 2000.
|
폐양액 시비에 따른 포인세티아 생육.
원예과학기술지.18(4):518-522.
|
|
ㆍYu K.W., E.J. Hahn, and K.Y. Paek. 2000.
|
Production of Adventitious Ginseng Roots Using Bioreactors.
Kor. J. Plant Tissue Cult.Kor. J. Plant Tissue Cul27(4):309-315.
|
|
ㆍGao W.Y., L. Fan, K.Y. Paek, and S.P. Zhao. 2000.
|
Spaceflight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Changes ultrastructure of Pedicel and Style Cells.
Kor. Soc. Hort. Sci.41(6):545-549.
|
|
ㆍ손기철, 백기엽, 박웅규, 김태중. 2000.
|
실내식물의 심지관수시 배지조성에 따른 식물의 생장과 위조 및 배지의 수분량과 재수화.
한국원예학회지.41(4):429-434.
|
|
ㆍ최영일, 선정훈, 정경호, 신성련, 백기엽. 1999.
|
조직배양 마늘의 양액재배시 종구크기, 상토, 재식깊이 및 양액조성이 맹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6(2):137-142.
|
|
ㆍ이종원, 김태중, 김주형, 김학현, 이철희, 최관순, 백기엽. 1999.
|
Priming 처리가 신나팔나리의 종자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.
원예과학기술지.17(2):136-137.
|
|
ㆍ이종원, 김태중, 김주형, 김학현, 이철희, 최관순, 백기엽. 1999.
|
신나팔나리 육묘시 저온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0(2):248-252.
|
|
ㆍ정창호, 유기원, 백기엽. 1999.
|
꽃도라지(Eustoma grandiflorum Shinn.) 조직배양시 발생한 변이체의 RAPD 분석.
원예과학기술지.17(3):352-354.
|
|
ㆍ남시춘, 윤광현, 백기엽. 1999.
|
녹색꽃양배추(Brassica oleracea L.)의 약배양 효율증진과 약유래 계통의 특성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6(3):189-195.
|
|
ㆍ박충헌, 성낙술, 김선규, 백기엽. 1999.
|
지황 조직배양주의 수량성과 성분함량 특성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 26(3):205-209.
|
|
ㆍ서영기, 윤광현, 조영환, 백기엽. 1999.
|
당근 웅성불임성의 형태별 이용현황과 핵내 웅성불임 유전자의 분포.
원예과학기술지.17(4):470-472.
|
|
ㆍ김태중, 김학현, 이희두, 이철희, 최관순, 백기엽. 1999.
|
팔레높시스 화경절단 후 생장조절제 처리가 2차 개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0(5):619-622.
|
|
ㆍ김태중, 김주형, 이종원, 이철희, 최관순, 심석원. 백기엽. 1999.
|
4종류의 비료 시용이 팔레높시스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0(5):615-618.
|
|
ㆍ김태중, 김주형, 이종원, 이철희, 이희두, 최관순, 백기엽. 1999.
|
팔레높시스 고랭지 재배시 광합성 유효광양자속 차이가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0(5):611-614.
|
|
ㆍChoi J.I., E.J. Hahn, and K.Y. Paek. 1999.
|
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 of Hedera canariensis, Pachira aquatica, and Ficus benjamina in Response to Photosynthetic Photon Fluxes and CO2 Concentrations.
Kor. J. Hort. Sci.40(5):627-630.
|
|
ㆍ박소영, 백기엽. 1999.
|
팔레놉시스 잎 배양시 영양계별 및 배양기간에 따른 변이체의 발생 및 형태적 특성.
한국원예학회지.40(6):731-734.
|
|
ㆍ서영기, 윤광현, 조영환, 백기엽. 1999.
|
당근의 세대별 특성변이 및 조직배양의 이용에 관한 연구.
한국원예학회지.40(6):693-696.
|
|
ㆍ서영기, 윤광현, 조영환, 백기엽. 1999.
|
당근 6계통과 그들간의 F1에서 발현되는 몇가지 양적 및 질적형질의 발현.
한국원예학회지.40(6):697-701.
|
|
ㆍ김태중, 이종원, 이철희, 김학현, 최관순, 백기엽. 1999.
|
도리테높시스 ‘Happy Valentine' 영양계묘와 실생묘의 하계 변온재배시 광합성 유효 광양자속의 차이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0(6):735-738.
|
|
ㆍ김태중, 김주형, 이철희, 김학현, 최관순, 백기엽. 1999.
|
도리테높시스 ‘Happy Valentine' 영양계 및 실생묘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항온과 변온처리의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40(6):739-741.
|
|
ㆍGao W.Y., K.Y. Paek, Y. Peng, and P.G. Xiao. 1999.
|
Industrial Development of Medicinal Plants in China.
J. Kor. Medicinal Plants.7(4):316-324.
|
|
ㆍSon S.H., S.M. Choi, S.R. Yun, O.W. Kwon, Y.H. Lee, K.Y. Paek. 1999.
|
Large-scale Culture of Plant Cell and Tissue by Bioreactor System.
J. Plant Biotechnology.1:1-7.
|
|
ㆍGao W.Y., J.H. Seon, S.H. Son, M. Moloney, and K.Y. Paek. 1999.
|
Production of pigments and α-Tocopherol by cell cultures in safflower(Carthamus tinctorius L.).
J. of Plant Biotechnology.1(2):69-77.
|
|
ㆍGao W.Y., Lei Fan and Kee-Yoeup Paek. 1999.
|
Ultrastructural Difference and Intercellular Transport of Metabolites in Old and New Bulb of Fritillaria pallidiflora.
Kor. J. Medicinal Plant.7(2):129-137.
|
|
ㆍ박충헌, 성낙술, 백기엽, 손재근, 피터포울. 1999.
|
지황의 세포유전학적 특성과 RAPDs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.
한국육종학회지.31(2):177-185.
|
|
ㆍ박충헌, 성낙술, 이만상, 백기엽. 1998.
|
지황의 발생학적 특성과 교잡친화성.
한국육종학회지.30(1):24-35.
|
|
ㆍ백기엽, 김태중, 선정훈. 1998.
|
식재 용토가 온대산 심비디움의 생장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9(5):597-604.
|
|
ㆍ백기엽, 선정훈, 김태중. 1998.
|
일년생 난과식물에 있어서 광양자속 밀도와 온도가 광합성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9(5):593-596.
|
|
ㆍ박충헌, 성낙술, 백기엽, 이철희. 1998.
|
지황의 캘러스 배양에 의한 기내 대량증식.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5(3):171-175..
|
|
ㆍ남춘우, 유동림, 류승렬, 유인철, 백기엽. 1998.
|
플러그 크기에따른 고랭지 재배 시클라멘의 생육 및 개화..
한국화훼연구회지.7(1):53-55..
|
|
ㆍ백기엽, 선정훈, 손성호, 한봉희, 예병우. 1998.
|
조직배양에 의한 고품질 우량종묘 생산과 생산비 절감.
원예과학지.16(2):272-278..
|
|
ㆍ백기엽, 유광진, 박상일. 1998.
|
지황의 조직배양묘와 영양번식묘의 생육 및 바이러스 감염도 비교.
한국약용작물학회지. 6(1):62-69.
|
|
ㆍ김태중, 선정훈, 백기엽. 1998.
|
질소-인산-칼리의 비율이 4종의 온대산 심비디움의 생장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9(4):469-474.
|
|
ㆍ임순, 선정훈, 손성호, 한봉희, 백기엽. 1998.
|
절편체 급원과 생장조절물질이 나리류의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.39(1):111-114.
|
|
ㆍ백기엽, 유광진, 박상일. 1998.
|
정단 및 마디조직 배양을 통한 지황의 기내증식 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5(1):63-68.
|
|
ㆍ임순, 선정훈, 손성호, 한봉희, 백기엽. 1998.
|
광, 무기물 및 생장억제제가 나리류의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.
한국원예학회지.39(1):107-110.
|
|
ㆍ리왕영, 조영환, 백기엽. 1997.
|
배추와 무의 속간 잡종육성을 위한 배주배양시 배 발아에 미치는 BA와 GA의 효과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4(5):257-262.
|
|
ㆍ백기엽, 유광진, 박상일, 신성련. 1997.
|
지황 기내배양시 투명화된 잎과 정상잎간의 조직학적 관찰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4(6):323-327.
|
|
ㆍ백기엽, 유광진, 박상일. 1997.
|
기내증식된 지황묘의 기내 및 기외 발근 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4(6):335-340.
|
|
ㆍ리왕영, 조영환, 백기엽. 1997.
|
배추와 무의 종속간 교잡시 배주의 발달과정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.
한국원예학회지. 38(6):670-674.
|
|
ㆍ리왕영, 조영환, 서영기, 백기엽. 1997.
|
배추와 무간 교잡으로부터 얻은 속간잡종식물체의 기공특성.
한국원예학회지.38(6):684-687.
|
|
ㆍ최영일, 선정훈, 김주학, 정경호, 백기엽. 1997.
|
저온처리가 기내배양된 마늘의 맹아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8(6):629-632.
|
|
ㆍ리왕영, 조영환, 백기엽. 1997.
|
동위효소 및 RAPD에 의한 배추속과 무속의 종내 및 종속간 잡종식물체 다형성 분석.
한국원예학회지.38(6):675-678.
|
|
ㆍ이상선, 유희균, 백기엽. 1997.
|
한국의 자생 난과식물에서 난균근 분리.
한국균학회지.25(2):101-110.
|
|
ㆍ리왕영, 조영환, 백기엽. 1997.
|
배추속의 종내, 종간 및 무와의 속간교잡으로부터 얻은 식물체의 종자 형성과 형질 유전.
한국원예학회지.38(4):353-360.
|
|
ㆍ리왕영, 남상현, 조영환, 백기엽. 1997.
|
콜히친 처리한 배추속과×무속간 잡종식물체의 화분형성과 발아 .
한국원예학회지.38(4):347-352.
|
|
ㆍ리왕영, 조영환, 백기엽. 1997.
|
배추속내 종간 및 무와의 속간 잡종육성을 위한 배주배양에서 수분후 경과일수가 배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.
한국원예학회지.38(4):372-378.
|
|
ㆍ박소영, 김시동, 신세균, 이철희, 백기엽. 1997.
|
백합 'Gelia' 캘러스로부터 자구 재분화에 미치는 제요인 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 24(3):183-188.
|
|
ㆍ이종원, 김태중, 김주형, 이철희, 정인명, 백기엽. 1997.
|
지대 및 정식기의 차이가 신나팔나리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.
농업과학논문집.39(2):91-95.
|
|
ㆍ박충헌, 성낙술, 이승택, 백기엽. 1996.
|
부정아 유도 및 영여자 기내 직접 생산에 의한 마(Dioscorea batatas)의 기내증식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3(5):317-322.
|
|
ㆍ윤태, 김태중, 홍승민, 김조형, 이종원, 이철희, 백기엽. 1996.
|
저온처리와 가온시기가 붓꽃의 개화기에 미치는 영향.
한국화훼연구지.5(2):19-24.
|
|
ㆍ백기엽, 유광진. 1996.
|
패모 인편 배양시 자구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배양방법과 생장조절제의 처리효과..
한국약용작물학회지.4(2):132-138.
|
|
ㆍ김태중, 백기엽, 윤태, 조진태, 정인명. 1996.
|
자생복주머니란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저온처리의 효과.
한국원예학회지.37(3):435-441.
|
|
ㆍ김태중, 백기엽, 윤태, 조진태, 정인명. 1996.
|
유기질 비료 및 Hyponex 시비가 자생복주머니난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
.
한국원예학회지.37(2):313-316.
|
|
ㆍ한봉희, 정향영, 최주견, 백기엽. 1996.
|
숙근안개초 조직배양시 용기의 밀페재료가 용기내 CO2 및 에틸렌 농도와 식물의 생장과 투명화 발생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7(1):118-122.
|
|
ㆍLee, K.H. and Paek, K.Y. 1996.
|
In vitro culture condition for proliferation of rhizomes derived from Cymbidium crosses.
Kor. J. Breed.28(2):109-115.
|
|
ㆍ박소영, 김시동, 김태중, 조진태, 백기엽. 1996.
|
하늘나리의 기내재생 경정, 인편 및 소자구배양에서 자구의 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..
농업과학논문집(진흥청).38(1):302-306.
|
|
ㆍ윤태, 김태중, 홍승민, 조진태, 정인명, 임기병, 백기엽. 1996.
|
매리골드, 백일초의 플러그 육묘시 육묘기간과 저장방법이 묘소질 및 후기생육에 미치는 영향.
농업과학논문집(진흥청).38(1):604-608.
|
|
ㆍ최인식, 조진태, 박성규, 정인명, 송인규, 김준호, 최관순, 백기엽. 1995.
|
패모재배시 피복재료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.
.
동양자원식물학회지.8(1):81-88.
|
|
ㆍ백기엽, 전은선. 1995.
|
난과 식물의 기공밀도, 크기 및 형태적 특성..
한국원예학회지.36(6):851-862.
|
|
ㆍ유광진, 백기엽. 1995.
|
Anthurium spp.의 정단 배양시 배지내 무기염류의 농도가 기관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토양 활착.
한국원예학회지.36(6):893-899.
|
|
ㆍ유광진, 백기엽. 1995.
|
정단 및 캘러스 배양에 의한 Anthurium spp.의 대량증식 .
한국원예학회지.36(5):684-694.
|
|
ㆍ한봉희, 정향영, 최주견, 백기엽. 1995.
|
숙근 안개초의 조직배양시 용기의 밀페재료 및 습도가 식물의 생장과 투명화 발생 및 체내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6(6):886-892.
|
|
ㆍ김태일, 황주광, 백기엽. 1995.
|
배추 약배양시 약의 발달단계, 온도처리 및 배지의 종류가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2(4):229-233.
|
|
ㆍLee, C. H., Paek, K. Y. and Hwang, J. K. 1995.
|
Somatic hybridization between Dendranthema grandiflorum and Salpiglosis sinuata via protoplast fusion.
Kor. J. Breed.27(3):290-297.
|
|
ㆍ백기엽, 유광진, M. B. Marisa, 최인식, 조진태. 1995.
|
패모의 우량 종묘 대량증식 및 무병종구 주년 생산 체계
.
한국약용작물학회지.(보고서별책본) pp. 1-33.
|
|
ㆍ조진태, 윤태, 김태중, 홍승민, 백기엽. 1995.
|
조팝나무 삽목시기 및 삽상토의 종류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.
한국화훼 연구회지.4(1):29-34.
|
|
ㆍ이현기, 백기엽, 서영기, 리왕영. 1994.
|
수박의 유묘 정단 배양시 유전적 차이가 기관형성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1(4):239-246.
|
|
ㆍLee, C.H., Paek, K.Y and Hwang, J.K. 1994.
|
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tative intertribal somatic hybrids between Salpiglossis and Petunia.
J. Kor. Soc. Hort. Sci.35(4):360-369.
|
|
ㆍ유광진, 백기엽, 성낙술, 최인식, 조진태. 1994.
|
패모의 초기배양과 모구의 저온처리가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.
한국약용작물학회지.2(3):211-218.
|
|
ㆍ백기엽, 유광진, 성낙술, 최인식, 조진태. 1994.
|
패모의 줄기, 마디, 정단 및 자구인편 배양에 의한 기내 증식.
한국약용작물학회지.2(2):154-161.
|
|
ㆍ윤 태, 김태중, 지재준, 조진태, 최관순, 홍유기, 백기엽, 권오원. 1994.
|
일일초, 석죽, 임파티엔스의 플러그육묘시 육묘 기간과 저장방법이 묘소질 및 후기생육에 미치는 영향.
농업과학논문집(진흥청).36(2):457-463.
|
|
ㆍ백기엽. 1994.
|
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한 원예식물의 대량번식.
생명공학동향.2(2):42-51.
|
|
ㆍ김태중, 윤태, 지재준, 조진태, 백기엽. 1994.
|
평지와 고냉지에 적합한 백합 억제재배용 품종선발과 신나팔나리의 생산에 관하여.
한국화훼연구회지.3(1):53-60.
|
|
ㆍ백기엽. 1993.
|
조직배양에의한 원예식물의 대량번식.
생물화공.7(4):32-44.
|
|
ㆍ백기엽, 조진태, 홍유기. 1993.
|
화훼식물의 체세포 영양계 변이체 선발.
농업과학 논문집(92 농업산학협동편) 농촌진흥청.35:151-162.
|
|
ㆍ백기엽, 박종대, 심걸보. 1993.
|
몇종의 착생난 조직배양시 배지내 Fe-EDTA첨가가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.
한국화훼연구회지.2(1):43-54.
|
|
ㆍ백기엽, 박종대, 심걸보. 1993.
|
몇종의 지생난 조직배양시 Fe-EDTA 첨가가 생장 반응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4(4):308-314.
|
|
ㆍ이정식, 백기엽, 유병열. 1993.
|
철쭉류 화분 치사에 관계되는 온도와 알코올 농도.
한국원예학회지.34(2):153-159.
|
|
ㆍ이정식, 백기엽, 박재복. 1993.
|
자생철쭉의 유묘 정단배양시 신초증식에 미치는 사이토키닌이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4(1):68-74.
|
|
ㆍ최성렬, 백기엽, 조진태. 1993.
|
마늘 캘러스배양을 통한 식물체 생산.
한국원예학회지.34(1):16-28.
|
|
ㆍ최성렬, 백기엽, 조진태. 1993.
|
조직배양 마늘의 생산력 검정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20(1):15-19.
|
|
ㆍ최성렬, 백기엽, 조진태. 1992.
|
마늘의 정단, 화경, 화뢰배양에 의한 식물체 생산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9(6):337-342.
|
|
ㆍ최성렬, 백기엽, 조진태. 1992.
|
조직배양 마늘의 바이러스 검정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9(5):283-287.
|
|
ㆍ한봉희, 백기엽, 최주견. 1992.
|
안개초 기내배양시 발생하는 투명묘와 건전묘의 형태적 특성.
한국원예학회지.33(2):177-189.
|
|
ㆍ백기엽, 이용택, 심걸보, 김주읍. 1992.
|
온대산 Cymbidium의 지하경 배양시 배지의 무기물 농도가 기관형성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9(3):141-150.
|
|
ㆍPaek, K.Y. and Lee, C.H. 1992.
|
Enzyme activities in relation to nitrogen assimilation in Nicotiana tabacum callus.
Kor. J. Plant Tissue Culture.19(2):81-87.
|
|
ㆍ한봉희, 백기엽, 최주견. 1992.
|
안개초 삽목번식시 NAA와 IBA처리 방법이 발근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3(1):73-78.
|
|
ㆍ한봉희, 김주성, 백기엽. 1991.
|
Amaryllis의 인편배양시 자구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8(6):355-360.
|
|
ㆍ한봉희, 백기엽, 최주견. 1991.
|
조직배양시 발생하는 안개초 묘의 투명화 방지.
한국원예학회지.32(4):518-524.
|
|
ㆍ이상선, 가강현, 이석구, 백기엽. 1991.
|
원예식물 및 재배식물에서 발견된 내생 균근.
한국균학회지.19(3):186-202.
|
|
ㆍ한봉희, 백기엽, 최주견. 1991.
|
정단배양에 의한 안개초의 대량증식.
한국원예학회지.32(3):394-400.
|
|
ㆍ백기엽, 리왕영, 한봉희. 1991.
|
배추 칼루스 배양시 NaCl 및 Na2SO4가 proline 축적과 수분관계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학회지.33(3):185-190.
|
|
ㆍPaek, K.Y., Han, B.H. and Choi, S.L. 1991.
|
Physiological,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trified shoots regenerated in vitro.
Kor. J. Plant Tissue Culture.18(3):151-162.
|
|
ㆍ한봉희, 김주성, 최성렬, 백기엽. 1991.
|
기내 배양에 의한 Begonia와 Caladium의 대량번식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8(2):137-145.
|
|
ㆍ서영기, 백기엽, 황주광, 조영환. 1991.
|
배배양에 의한 대목용 호박의 번식과 종간 잡종 호박의 생산.
한국원예학회지.32(2):137-145.
|
|
ㆍ백기엽, 한봉희. 1990.
|
조직배양을 이용한 무병종묘의 생산현황과 문제점.
한국시설원예연구.3(2):25-36.
|
|
ㆍ백기엽, 이용수, 남시춘. 1990.
|
정단배양에 의한 파 (Allium fistulosum) 웅성불임계통의 증식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7(3):151-157.
|
|
ㆍ백기엽, 안성용, 심걸보. 1990.
|
동양난의 개발과 미세번식 체계확립. - Ⅲ. 배양한 rhizome의 polyphenol 함량, 기관형성의 조직학적 관찰 및 동위효소의 검정.
한국원예학회지.31(3):263-275.
|
|
ㆍ백기엽, 김상환, 이용수. 1990.
|
배추 callus 배양시 몇가지 대사물질 함량에 미치는 NaCl과 Na2SO4의 효과.
한국원예학회지.31(4):317-326.
|
|
ㆍ조진태, 박종천, 권규칠, 정인명, 김용배, 백기엽. 1990.
|
궁궁이의 생리생태에 관한 조절연구. 1.종자발아, 차광, 일장반응 및 무기성분 분석 연구.
농시논문집 (원예편).32(1):54-59.
|
|
ㆍ한봉희, 백기엽, 최주견. 1990.
|
경정배양에 의한 거베라의 대량증식과 토양활착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7(1):33-40.
|
|
ㆍ백기엽, 심걸보, 김정주. 1990.
|
동양난의 개발과 미세번식 체계확립. - Ⅱ. 천연산물 및 BAP처리 일수가 Rhizome의 기관형성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1(1):74-80.
|
|
ㆍ백기엽, 이철희. 1989.
|
EMS, colchicine 및 gamma선 처리에 의한 마늘이 변이체 유기에 관하여.
농시논문집 (산학협동편).32:43-52.
|
|
ㆍ백기엽, 한봉희. 1989.
|
안개초 (Gypsophila paniculata L.) 조직배양시 투명화된 식물체의 생리적 특성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6(3):203-209.
|
|
ㆍ백기엽, 손영자, 황주광, 정승근, 박상일. 1989.
|
무궁화 미숙배 배양에 의한 식물체획득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6(2):93-104.
|
|
ㆍPaek, K.Y., Lee, C.H. and Shin, S.H. 1989.
|
Biotechnological approaches to improving salt tolerance : Selection and physiological studies of sanlinity stress
.
Kor. Soc. Plant Tissue Culture.16(1):1-14.
|
|
ㆍ백기엽, 황주광, 정승근, 박상일. 1989.
|
무궁화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체세포 잡종 유기. - Ⅰ. 원형질체 분리에 있어서 관련 요인 조사.
한국육종학회지.21(2):95-102.
|
|
ㆍ백기엽, 심걸보, 김정주. 1989.
|
동양난의 개발과 미세증식 체계확립. - Ⅰ. 동양란 종자의 무균발아와 배지 및 생장조절제가 기관형성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30(3):234-247.
|
|
ㆍ백기엽, 황주광, 정승근, 박상일. 1989.
|
무궁화의 기내수분, 배주배양 및 캘러스로 부터 부정아 및 체세포배의 분화.
한국원예학회지.30(2):145-156.
|
|
ㆍPaek, K.Y. and Lee, S.S. 1988.
|
14CO2 fixation and assimilate transformation in barely leaves.
Kor. J. Crop. Sci.33(1):64-69.
|
|
ㆍ한봉희, 이석주, 조규원, 최주견, 백기엽. 1988.
|
기내배양 Statice(Limonium spp)의 대량번식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5(3):205-216.
|
|
ㆍ백기엽, 리왕영, 황주광, 조영환. 1988.
|
배추 정단배양시 NaCl과 Na2SO4 첨가가 생장과 대사물질함량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9(3):159-170.
|
|
ㆍ백기엽, 한기룡. 1988.
|
글록시니아 (Sinningia speciosa)의 배축 및 자엽조직으로 부터 식물체 생산과 EMS 및 Colchicine 처리.
한국원예학회지.29(2):126-135.
|
|
ㆍ백기엽, 정중구, 리왕영, 이충우. 1987.
|
배추의 배양조직으로부터 캘러스 형성과 생장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몇가지 첨가 물질의 효과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4(2):75-85.
|
|
ㆍ백기엽, 김주동, 강상준. 1987.
|
사탕무우 (Beta vulgaris L.) 정단배양시 sodium sulfate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4(1):1-10.
|
|
ㆍ백기엽. 1987.
|
마늘 (Allium sativum) 조직 배양체의 토양활착 증진에 관한 연구.
농시논문집 (산학협동편).30:71-80.
|
|
ㆍ백기엽, 김위헌, 이정식, 김영진. 1987.
|
포자배양에 의한 파초엽과 박쥐난의 대량번식.
한국원예학회지.28(3):245-254.
|
|
ㆍ김선규, 황주광, 백기엽, 한봉희, 황정환. 1987.
|
생장조절제와 배지의 무기물 농도가 기내배양 대추의 callus 형성 및 신초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8(2):131-136.
|
|
ㆍ백기엽, 심걸보, 황주광. 1987.
|
온대산 Cymbidium의 종자 무균발아와 형성된 rhizome로부터 식물체 형성.
한국원예학회지.28(2):185-193.
|
|
ㆍ정삼택, 김선규, 백기엽, 안혁기. 1987.
|
생장조절물질이 기내배양 대추 신초의 발근 및 분지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9(1):53-60.
|
|
ㆍ백기엽, 이충우, 최주견, 홍영표. 1987.
|
히야신스, 수선 및 참나리 조직배양시 조직, 정아우세 및 휴면타파가 shoot의 증식과 구비대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8(1):88-98.
|
|
ㆍ이철희, 심걸보, 백기엽, 최주견. 1985.
|
난과식물 유묘배양시 몇가지 첨가물질이 부정아 및 부정근 발생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2(2):9-16.
|
|
ㆍ백기엽, 전재기. 1985.
|
Cymbidium protocorm 배양시 배지의 pH 가 기관발생과 무기물 흡수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2(2):1-7.
|
|
ㆍ백기엽, 이철희, 황주광. 1985.
|
당근 (Da쳐s carota L.) 세포 배양시 세포의 크기, 밀도, conditioned 배지 및 pH가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학회지.28(2):141-148.
|
|
ㆍ최성렬, 백기엽, 권규칠, 손삼곤, 조진태. 1985.
|
마늘 조직배양시 절편체의 종류 및 shoot 절단이 shoot 의 증식 및 구비대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6(4):304-312.
|
|
ㆍ백기엽, 이철희, 황주광. 1985.
|
당근 (Dacus carota L.) 세포 및 callus 배양시 생장조절제가 세포생장, 배발생 및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6(4):254-260.
|
|
ㆍ백기엽, 전재기. 1985.
|
Cymbidium protocorm 배양시 배지내 NH4+, Ca++및 Mg++ 이온농도가 기관 발생과 체내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6(2):193-199.
|
|
ㆍ백기엽, 오문옥, 최주견. 1985.
|
조직배양에 의한 코르딜리네와 스킨답서스의 대량번식.
한국원예학회지.26(1):83-92.
|
|
ㆍ백기엽, 황주광, 이철희, 강영희, 최광태. 1984.
|
담배세포 배양시 생장측정과 cell plating 방법에 관하여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1(1):5-14.
|
|
ㆍ백기엽, 최성열, 이재욱, 최주견. 1984.
|
Petuia 조직배양시 몇가지 공해물질이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학회지.27(3):139-147.
|
|
ㆍ백기엽, 이철희, 최주견, 곽병화. 1984.
|
Nephrolepis exaltata의 runner tip 배양에 의한 대량번식.
한국원예학회지.25(4):313-321.
|
|
ㆍ백기엽, 이철희, 리왕영. 1984.
|
Adiantum cuneatum 배우자체에 있어서 포자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탄소급원과 생장조절물질의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5(4):322-392.
|
|
ㆍ백기엽. 1984.
|
Cymbidium protocorm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. - Ⅰ. 기관발생의 기원과
Isoperoxidase의 Pattern 차이.
한국원예학회지.25(2):164-169.
|
|
ㆍ백기엽, 최성렬, 최주견. 1984.
|
Petunia 배축과 자엽절편 배양에 의한 식물체 생산.
한국원예학회지.25(1):56-64.
|
|
ㆍ이현숙, 백기엽, 최주견, 곽병화. 1983.
|
Cymbidium protocorm 배양시 기관발생과 생장에 미치는 배지의 무기이온 조성 효과.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0(2):89-94.
|
|
ㆍ백기엽. 1983.
|
Cymbidium protocorm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. - Ⅲ. 배양온도, 당농도 및 배지의 물리성이 기관발생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0(1):37-44.
|
|
ㆍ백기엽, 전재기. 1983.
|
Cymbidium protocorm의 생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. - II. 배지내 몇가지 첨가물질이 기관분화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10(1):27-35.
|
|
ㆍ이현숙, 백기엽, 이중기. 1983.
|
Laelia briegeri 종자의 무균발아에 관한 연구. - Ⅱ. 배지의 무기이온조성, 농도, 질소 급원 및 Fe-EDTA 농도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4(2):169-174.
|
|
ㆍ백기엽, 신성호. 1983.
|
참나리 주아 조직배양시 자구재생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과 휴면에 관한 연구
.
한국원예학회지.24(2):149-157.
|
|
ㆍ백기엽, 전재기, 정재동. 1983.
|
Hyacinth 인편 배양시 자구 재생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과 모구의 저온처리 효과에 관한 연구.
한국원예학회지.24(1):68-75.
|
|
ㆍ백기엽. 1982.
|
Tulipa gesneriana의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.
한국원예학회지.23(4):1-76.
|
|
ㆍ백기엽, 전재기. 1982.
|
Lilium longiflorum Thunb의 인편.조직배양에 관한 연구.
한국원예학회지.23(3):230-239.
|
|
ㆍ이중기, 백기엽, 이현숙, 신성호. 1982.
|
Laelia briegeri 종자의 무균배양에 관한 연구. - Ⅰ. 종자발아 과정의 형태적 특징과 pH, 당 및 생장조절제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23(2):71-79.
|
|
ㆍ백기엽. 1982.
|
Tulipa gesneriana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(Ⅰ).
.
한국원예학회지.23(1):70-76.
|
|
ㆍ전재기, 백기엽. 1982.
|
Saseveria laulentii의 엽 조직 배양에 관한 연구.
한국원예학회지.23(1):77-83.
|
|
ㆍ백기엽, 이재욱, 이현숙. 1982.
|
박쥐란의 포자배양에 관한 연구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9(1):57-63.
|
|
ㆍ백기엽, 최성렬. 1982.
|
Hyacinth의 인편, 화경, 화뇌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9(1):47-55.
|
|
ㆍ정재동, 전재기, 이은명, 백기엽. 1981.
|
Hyacinth orientalis의 조직배양에 관한연구(Ⅱ)-Auxin류가 인편조직부터 callus형성 및 자구분화에 미치는 영향.
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.8(1):45-48.
|
|
ㆍKim, S.K. and Paek, K.Y. 1981.
|
Studies on anther culture of grapes Ⅰ-Varietal differences on caIlus formation.
J. Kor. Soc. Hort. Sci..22(2):86-91.
|
|
ㆍLee, J.K., Paek, K.Y. and Chun, C.K. 1979.
|
In vitro propagation of Chrysanthemum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.
J. Kor. Soc. Hort. Sci.20(2):192-199.
|
|
ㆍ정삼택, 천성기, 백기엽. 1978.
|
Ethephon 처리가 과수의 생장과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19(1):17-25.
|
|
ㆍ백기엽, 정삼택. 1977.
|
개화기에 농약살포가 과수의 화분발아와 결실에 미치는 영향.
한국원예학회지.18(2):125-136.
|
|